목포시 으뜸맛집 100곳 선정, 되레 민간죽이기?
|
 |
|
ⓒ 목포투데이 |
|
공문 한장 없이 주관적 선정·같은 세금 내고 선정된 맛집 ‘공짜 홍보’
업계 “특정 업소 지정, 공공성이 민간훼손” 비판
목포시가 ‘맛의도시 선포’에 맞춰 으뜸 맛집 100곳을 선정하자 일부 요식업계에서 민간에 대한 과도한 공공개입으로 되레 민간 업계를 죽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목포에서 운영되는 음식점만 4천여 곳에 달하는데 목포시가 4%에 해당하는 특정 음식점을 지정함에 따라 맛집 선정에서 제외된 다른 식당은 상대적으로 소외를 받게 돼 영업상의 불이익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다.
특히 맛집을 선정하게 된 과정에서 일부 업체는 공직자들이 자주 다니는 식당이거나 설문대상자들이 자주 가는 맛집 위주로 1차 설문조사 및 현장 실사가 진행되어 공정성 논란도 제기됐다. 현재 목포시에서 운영되는 음식업소는 총 4천여 개다.
이 중 시는 기존에 목포를 대표하는 핵심 맛집으로 11곳을 지정하여 홈페이지나 각종 책자에 소개하고 있었다.
이들 맛집은 시가 향토음식점을 인증하는 공식 팻말 등이 업소 정면에 부착되어 사실상 시가 공인인증한 향토 맛집인데 이들 업소들 중 일부는 외부 전문가들이 암행 감사를 실시할 당시 위생 상태, 맛과 서비스 질에서 누락되어 맛집 선정에서 탈락되기도 했다.
공인 인증된 맛집이 그동안 허술하게 관리된 셈이다.
여기에 더해 시가 추가적으로 90여 곳의 맛집을 더 선정해 공표한 것이다.
▲맛집 선정 어떤 과정 거쳤나?
공공정책 실시를 위해 맛집을 선정하면서 시는 업계에 공문서 한 장도 보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책 시행시 공론화 과정도 거치지 않았다. 다만 정책 수립후 시의회에 정책과정을 브리핑한것이 전부다.
이 사업은 맛의 도시 목포 조성을 위해 목포시가 추진하고 있는 핵심사업 중 하나로 김종식 시장의 의지가 담겨진 사업이다.
시는 이들 으뜸 맛집은 단순히 맛있는 집이 아니라 남도의 자연에서 나는 우수한 식재료에 목포의 문화와 역사가 정갈한 손맛과 함께 버무려져 있는 진짜 목포 미식문화 한끼를 내세우는 맛집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시는 100곳 으뜸 맛집 선정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목포시내 4천여 개 음식점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맛, 서비스, 분위기, 향토성, 청결(위생), 운영자의 철학 등 6개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1차 심사부터 공정성 훼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는 1차 설문조사를 시청 공무원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목포시에서 소개하고 싶은 맛집을 추천 명단을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했다.
즉, 목포 맛집하면 떠오르는 식당을 열거하는 방식인 주관적 설문조사 방식을 채택해 다수의 의견이 제시된 맛집을 중심으로 1차 조사 시는 “4천 곳 식당을 모두 열거할 수 없고, 이들 음식점에는 제과 제빵을 비롯한 간이 휴게 음식점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편리성을 위해 떠오르는 맛집 위주로 1차 대상자를 선별했다”고 밝혔다.
1차 선정대상지가 조사자들의 기억과 친숙함에 의존된 음식점들로 선정된 것이다.
1차에서 선정된 890곳을 대상으로 시는 보건소 위생과에 행정처분을 받은 업소, 그리고 추천된 곳 중 인력이 적은 곳, 1년 미만으로 비교적 신생음식점은 제외했다.
행정처분 외에 보건소가 현장실태 조사를 실시한 이들 업소는 맛이나 서비스 질에 주력하지 않고 향후 맛집 선정 후 음식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의사가 있는지, 언론사나 외부에서 맛집을 취재할 때 적극적으로 대응할 의사가 있는지, 향후 시설을 개선할 의지가 있는지 등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가 이뤄졌다.
으뜸 맛집으로 선정하는 핵심 목적인 목포의 향토성, 음식의 수준 등을 가늠하는 현재진행형이 아니라 향후 홍보활동 및 입식테이블 교체 등 시설 개선, 규모 등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2차 심사 결과 890여 곳의 음식점은 157개소로 줄어들었다.
157곳을 대상으로 시는 서울 수도권에 있는 모 업체에 2천만 원의 용역비를 들여 이들 업체를 대상으로 암행 감찰을 통해 1백 곳으로 맛집을 선정했다. /박근영기자
제994호 2019년 4월 24일 1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