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재)영암문화관광재단은 12월 13일과 14일 영암 월출산 기찬랜드 일원에서‘2024 문화활동가 영암문화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영암에서 도모하는 문화정책의 내일’을 주제로, 지역 문화 활성화와 문화정책의 혁신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될 예정이다.
문화포럼에는 문화정책 전문가, 지역 문화재단 관계자, 청년 활동가 등 전국에서 문화분야에 매진하는 현장인력 70명이 참여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지역문화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우승희 영암군수의 “영암군의 문화비전”이란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프로그램은 총 4개 세션과 종합토론으로 구성되며, 각 세션에서는 ▲문화정책 변화와 대응, ▲유휴공간 활용과 문화재생, ▲문화도시의 미래 ▲로컬 현장의 도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첫 번째 세션(A)은 한국트로트가요센터에서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격변기 지역문화정책의 변화」 ▲이원재 문화연대 집행위원장의 「2025 문화예산 분석 및 평가」 ▲양현미 상명대 교수 및 전효관 전 서울시 혁신기획관의 「지역문화와 박물관」 ▲홍태림 전 예술위 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책임 심의제」 발제가 진행된다.
두 번째 세션(B)은 영암문화원에서 ▲김병수 우도 문화재생사업 단장의 「우도 문화재생 사례」▲김영현 빠삐용집 단장의 「장흥교도소 사례」, ▲신동호 (사)인문사회연구소장의 「유휴공간의 재생 사례」발표가 진행된다. 지역 내 유휴공간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사례와 성과를 공유한다.
세 번째 세션(C)은 영암문화관광재단 세미나실에서 ▲김정연 영암문화관광재단 팀장의 「영암 문화현장의 실천과제」 ▲고윤정 영도문화도시 센터장의 「영도 문화도시의 미래」 ▲강승진 춘천문화재단 도시문화센터장의 「춘천형 문화도시의 사례」를 발표한다.
네 번째 세션(D)은 영암 달빛청춘마루에서 ▲김은주 ㈜섬도대표의 「거제 로컬 섬도의 실험과 과제」 ▲정서진 영암청년마을대표의 「영암청년마을의 분투기」 ▲서진영 작가의 「로컬 밖에서 본 로컬」 주제로 지역 주민과 청년들의 노력이 어떻게 지역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지 탐구한다.
마지막 종합토론에서는 지금종 전 지역문화진흥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4가지 세션의 사회자인 ▲최혜자 문화디자인자리 대표, ▲김재필 영암문화원 교무과장, ▲신재민 충주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장, ▲김여송 영암곤충박물관 부관장을 중심으로 각 세션의 논의를 종합하여 구체적인 실행 전략과 시사점을 제안하여 더 나은 문화정책의 미래를 그려나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