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시민세금으로 귀신이 밥 먹었나?”
“예결위 위원들 함께 식사 한 적 없다”
목포시의회 예결위, 시민세금 들어간 카드 누가 썼을까?
목포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업무추진비 부정사용 논란이 도마 위에 올랐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했던 지난 3월 목포시의회 의원들과 공무원 등 9명이 식사를 했다는 제보가 접수, 확인결과 식당에서 끊은 카드 지출은 있었지만 식사를 했다고 인정하는 목포시의원은 거의 없어 진실규명이 필요하다.
본사취재 결과 목포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K 위원장은 3월 18일과 19일 2곳, 22일에 목포시 상동 소재 4곳의 식당에서 총 80만원의 비용을 업무추진비 일환으로 위원회 카드로 결제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의원 6명과 공무원 등 9명이 식사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식사를 한 적이 없다고 반박해 누가 가짜 서류로 식사한 것인지 아니면 이들이 거짓말 하고 있는지 진상규명이 필요하다.
만약 식사를 했다면 코로나 방역수칙을 어겼기 때문. 목포시의회 예결위 소속 A 의원은 “예결위 소속 의원들 식사자리였다지만 그 자리에 초대를 받은 적조차 없는데 누가 식사를 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B 동료의원 역시 “식사를 한다는 연락도 받지 못했고, 위원회 소속 위원들끼리 식사한 적도 없다”며 “귀신이 밥 먹었느냐”고 어리둥절했다.
이에 대해 K의원은 "상임위 위원장을 한번도 맡은 적이 없는 상황에서 예결위원장을 맡아 다소 미흡한 면이 있었다"며 "사용 내역은 의회 담당직원이 그냥 통상적으로 적어낸 것으로 당시 언론인들과 식사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답변했다.
한편 업무추진비는 지방의원들이 급여 형식으로 매달 받는 월정수당 및 의정활동비와는 별개로 원활한 의정운영과 연구 활동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비용이지만 문제는 이런 업무추진비의 대부분이 회식비용이라는 명목 하에 ‘밥값’으로 사용됐는데 그 명목조차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의회 업무추진비 조작은 전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한 시민은 “코로나로 5인 이상 사적모임이 금지돼 있어 시민들은 모든 모임들을 취소한 상황인데 시의원들과 공무원 9명이 식사를 했다면 큰 문제다”고 지적했다.
한편 업무추진비를 부당하게 사용하게 되면 해당의원을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하도록 강제 조항이 마련돼 있어 민주당 일색인 목포시의회에서 친의장계로 분류되는 K 의원이 과연 이 문제로 윤리위원회에 회부 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하현기자
2021년 5월 19일 제1097호 4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