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경제 다 무너지는데 정부 백신 확보 ‘뒷짐’
“4,400만명 분 내년 2~3월 단계적 도입” 불확실
영국이 지난 8일(현지시간) 일반인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 이른바 ‘브이 데이(V-Day)’를 맞은 가운데 같은 날 한국 정부는 4400만 명분의 백신 수급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접종 시기조차 불투명해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
서민들과 자영업자의 생계와 국가경제 영향을 고려하면 지금이라도 당장 백신 확보를 마무리 짓고 접종계획을 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코로나19 발병 초기 모범 대응국으로 인정받았지만 지금 우리나라는 백신 확보에 있어 ‘거북이 정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백신 확보 물량이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부족하고 최종 도입·접종 시기도 불확실해서다.
지난 8일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4400만명분을 내년 2~3월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와 1000만 명분 선구매 계약을 맺었고, 화이자·모더나·코백스 퍼실리티에서 각 1000만 명분, 존슨앤존슨-얀센에서 400만 명분의 백신을 조달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코로나19 수도권 방역상황 긴급점검 회의에서 “이르면 내년 2월에서 3월 사이 정부가 확보한 백신 초기물량이 들어와 접종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백신이 들어오는 대로 접종이 시작될 수 있도록 접종계획을 앞당겨 준비해 달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백신 접종이 시작되더라도 코로나19 확산세를 잡을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다.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한 백신의 예방 효과는 95% 수준에 이른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여전히 조용한 전파를 일으키는 ‘무증상 감염자’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백신 안전성 논란이 여전한 점도 백신 효과를 기대보다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해외와 비교해 우리나라는 확진자가 적다. 우리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코로나19 상황을) 대처하고 있어 서둘러 접종하는 것은 필요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연말 내 ‘접종’을 시작하는 나라들에 비해 내년 2~3월 ‘도입’은 너무 늦다는 것이다.
더구나 4400만명분 백신이 이 시기에 모두 확보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실제 접종은 내년 말쯤 돼야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까지 제기되고 있다. /강하현기자
2020년 12월 16일 제1076호 1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