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개인택시지부 지부장에 “횡령” 제보 잇따라
“지부장 송 씨는 택시 미터기 교체 등 횡령 많아” “굳이 이 사람을 낭만콜추진위원장 올려야 했나?”
“횡령한 사실이 지역사회에 퍼졌으면 과거를 반성하고 다시는 조합원들을 속이는 일이 없어야하는데 개인택시지부 송모 지부장은 잘못을 뉘우치긴 커녕 당당하게 낭만콜 추진위원장으로 시민들과 조합원들 앞에 섰습니다”
본보 1075호 15면에 게재된 ‘과거 횡령사건으로 발목 낭만콜 추진위원장’ 기사의 제보자 중 한 사람이 송 지부장에 대해 설명하다 분노를 감추지 못하며 한 말이다.
문제의 중심으로 지목받은 개인택시지부 송 지부장에 대한 제보가 보도 이후 곳곳에서 잇따르고 있다. 제보자들이 말하고 있는 그의 문제점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송 씨의 지난 몇 년의 행적을 이해할 수 없다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8년 쓰는 부품을 4년 만에 바꿔
A씨는 “정부보조금으로 장착한 택시 미터기는 조달청에서 ‘보조금관리에 따른 법률’ 등에 의해 8년 동안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며 “하지만 송 지부장이 4년 만에 임의로 미터기를 교체하며 추가적인 미터기 교체비용을 조합원들에게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A씨는 이 일에 대해 “목포에 2개의 택시 미터기 회사가 있지만 송 지부장과 친분이 있다고 소문이 무성한 한 업체로 가도록 유도했다”며 “목포시의 지원금으로 미터기를 장착했기 때문에 교체할 때에도 시와 협의 후에 교체했어야 했지만 협의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미터기는 국토교통부에서 검증받은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당시 설치한 미터기의 제품이 검증받지 못한 미터기 제품이라 그런지 잦은 고장이 있었는데 그게 문제가 돼 4년 만에 교체하지 않았나 싶다”며 “2014년 그가 취임할 때 30만원의 자부담금을 내고 미터기를 교체했지만 2017년 교체 당시 또 교체비용을 요구하며 10만원의 교체비용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아 장착한 물품을 임의로 처리할 경우 보조금 전액 환수나 배임·횡령 등으로 ‘보조금관리에 따른 법률’ 제42조(벌칙)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돼 있다.
▲미터기 업체 중에 1업체 고집
위에서 제보자 A씨가 언급한 미터기 회사도 주목받고 있다. 목포에 미터기를 취급하는 업체는 언급된 M업체와 S업체다.
송 지부장이 당선되고부터 택시의 미터기와 블랙박스 설치는 물론 정비까지 모두 맡고 있는 곳인 이곳이 송 지부장과 오랜 협업을 했다는 A씨의 주장에 적지 않은 시민들이 이 업체를 입소문을 통해 들었다고 공감하며 그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A씨는 “낭만콜의 시스템을 만든 업체와 M미터기 업체도 관련이 있다고 알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송 지부장이 있다는 것”이라며 “지부장으로 지역의 두 업체에 분산되게 일을 나눠 줘야하는데 한 업체만을 고집하는 이유가 무엇이겠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그는 “M업체가 세금을 내지 않고 있다는 소문까지 돌아 송 지부장의 횡령에 밑거름이 되고 있는 업체인지 수사당국의 확인이 꼭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낭만콜, 이대로 괜찮은가?
낭만콜 개발업체인 I업체가 M미터기 업체와 관련이 있다고 위에서 언급됐다.
지목된 I업체에 대해 또 다른 제보자 B씨는 “송 지부장이 대표로 있는 M콜 회사의 미터기 납품업체가 I업체였고 이 업체가 낭만콜 개발까지 발을 넓혔다”며 “낭만콜 개발업체의 입찰제안서를 확인했었는데 특정업체를 겨냥하는 조건이 눈에 띄어 두 업체 중 한 곳을 뽑으려는 것이 아니라 한 업체에 힘을 실어주는 제안서라는 생각이 바로 들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소프트웨어라는 것이 예산이 얼마가 나오든 증명이 어려워 그들이 얼마의 예산을 목포시에 요구했는지, 개발에 사용된 금액은 얼마인지 정확한 자료로 해명해야 할 것”이라며 “20대와 30대를 겨냥한다는 낭만콜은 2~30대 절반 이상이 사용하는 아이폰에서는 어플을 설치할 수 있게 하지 못한 채 발대식만 서둘렀고 현재까지 개발 중이라는 말만 하며 개발업체의 업무처리 속도는 체크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낭만콜 앱에 대해 B씨는 “나이드신 분들이 인구의 절반인데 앱을 개발해 통합한다면 어르신들은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라며 “법인택시회사들도 앱이 모두 있어 옷만 갈아입혀 통합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에 시청 관계자는 “아이폰의 앱 개발이 까다로워 준비가 늦어지고 있다”며 “미터기 문제에 대해서는 송 지부장이 회장직을 내려놓은 이후에 발생한 횡령 건이며 시가 예산을 지원한 것은 개인이 아닌 단체였다”고 해명했다.
덧붙여 “송 지부장은 추진위원장에 앉힌 것은 그의 횡령사건이 벌어지고 5년이 지나 법적으로 문제가 없어 임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제보자 A씨는 “5년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기한이 없다고 확인했다”고 반박해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진하기자
2020년 12월 16일 제1076호 15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