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제주 신창리 바다서 중국 중세 무역선 대형 닻돌 발견
“국내서 발견된 기존 닻돌보다 크고 무거워”
수중 유적인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중국 중세 무역선의 길이 3.1m짜리 대형 닻돌(닻을 매다는 돌) 한 점이 발견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지난 5월 말부터 7월까지 실시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이런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은 중국 남송(1127∼1279) 시대 도자기가 다량 발견되고 있는 곳으로, 과거 중국 무역선이 난파되면서 형성된 유적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닻돌은 두 조각으로 쪼개진 채 발견됐다. 전체적으로 긴 마름모꼴로 중앙부가 두툼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다. 닻돌 중앙부에는 22㎝의 얕은 홈이 있으며, 고정못을 설치하기 위한 폭 7㎝가량의 홈도 확인됐다.
연구소는 “이런 형태의 닻돌은 중국 송·원대에 유행하던 것으로 나무로 된 닻가지(닻에 달린 갈고리)와 결합돼 배를 정박시키는 데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기존에 발굴된 닻돌들은 길이 175㎝ 내외, 두께 11∼13㎝, 무게 100∼130㎏ 정도이나, 이번 신창리 해역에서 발견된 닻돌은 길이 310㎝, 중심부 폭 36㎝, 중심부 두께 29㎝, 무게 586㎏으로 훨씬 크고 무겁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닻돌과 함께 중국 동전도 확인되었다. 발견된 동전은 경덕원보(景德元寶, 1004~1007년 주조), 희령원보(熙寧元寶, 1068~1077년), 선화통보(宣和通寶, 1119~1125년)로 모두 북송(北宋)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렇듯 제주도내 육상과 바다 속에서 같은 종류의 유물이 확인된다는 것은 과거 바닷길을 통한 동아시아 국제교류 상에서 제주도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금제 장신구가 발견되면서 처음 존재가 알려졌다.
지난해 처음으로 진행된 정식 발굴조사에서 중국 남송대 저장성 룽취안(龍泉) 요에서 생산된 다량의 도자기와 상인이 직접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인장 2점을 확인한 데 이어, 올해 2차년 발굴조사에서 대형 중국 닻돌과 중국 송대(宋代)의 동전까지 발견되어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의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 자료들을 추가 확보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신창리 해역을 포함해 제주도 해안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과거 해양교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2020년 12월 2일 제1074호 8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