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코로나 백신 치료제 곧 개발된다는데…그래도 코로나 재확산 급증 ‘주의보’
정부, “전국민 60% 접종 코로나 백신 확보” 밝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화이자가 최초로 미 식품의약국에 백신 긴급사용 승인신청을 하면서 미 백악관 코로나 백신 책임자가 미국에서 이르면 12월 11일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해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승인이 이뤄지면 이르면 다음 달부터 백신 유통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언제쯤 코로나 백신 접종이 가능할까?
그런 가운데 정부가 전 국민의 60% 이상이 접종할 수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한 상태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백신의 도입과 접종에 최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코로나19 백신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정부가 3천만 명분 이상이 접종할 수 있는 양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시기가 언제쯤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만약 정부의 말대로 3천만 명분 이상이 접종할 수 있는 양이 확보된다면 이는 전 국민의 60% 이상이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이다.
박능후 장관은 “국민들에게 약속을 했던 3천만 명분, 즉 60%에 해당하는 3천 만명 분을 확보하겠다고 약속을 드렸는데 그거보다 초과하는 양을 개별 기업과 협상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세부적인 공급 조건을 계약서상에 명시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가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공동 개발 중인 백신의 경우, 영하 70도 이하의 저온 유통이 필수이기 때문에 안전성 유지와 관련한 조항 작성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능후 장관은 “화이자 같은 경우는 마이너스 70도의 공급망이 필요하다. 콜드체인 중에서도 특이한 콜드체인이 필요하다. 마이너스 70도를 유지할 수 있는 나라들이 별로 없다”며 “안전성이 검증된 백신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 신중하게 도입하겠다”고 정부 입장을 재차 밝혔다.
한편 미국에 이어 영국 정부도 화이자 백신에 대한 적합성 평가 절차에 돌입했다. 영국은 백신이 승인되면 12월부터 시작해 내년엔 대규모 접종이 진행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다만 화이자의 백신이 mRNA 백신, 유전물질을 활용해 만들어지는 최초의 백신이어서 단기간에 대량 생산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 영하 70도의 초저온 냉동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점도 유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강하현기자
2020년 11월 25일 제1073호 1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