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기자수첩 / 국민청원에 이름 올린 목포경찰서
이진하 기자 / mokpotoday1@naver.com
광주경찰청이 국정감사에서 부실 수사와 미흡한 피해자 보호 및 기강 해이에 대한 질타가 쏟아진 가운데 목포경찰서도 국민청원에 언급되면서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경찰관 성접대’ ‘고소장 잡음’ ‘석연찮은 조사’ 등을 주장하는 글이 게시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는 청원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지역사회가 갖는 불신이 커져 갈 전망이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담당조사관)통화 했는데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한다. 고소장 제출하고 고소보충 조사를 받는데 그때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근데 아무런 그런 것도 없어 그대로 끝난 것이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계자는 수사보고서를 보며 “고소인이 가버렸다. (조서용지가 아닌) 컴퓨터에 저장된 화면을 보여줬다. 찢어버리려 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지만 시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옥암동에 거주하는 시민 박 모씨는 “피고소인과 경찰관들이 친분이 있다고 들었는데 친분으로 인해 업무에 영향을 주면서 공직에 종사하는 것을 세금을 받고 일하는 사람의 자격이 없다”며 “시민들과 가장 가까워야 할 경찰관이 조작과 가까운 일을 주도하며 일을 처리한 게 사실이라면 큰 징계로 답해야한다”고 경찰관들의 태도를 비판했다.
국민청원 글 게시자인 56세 여성 이 모씨는 “만일 내용이 다른 그 무서운 조서에 날인했다면 피고소인들이 저를 어떻게 했겠냐”며 “생각할수록 무섭고 매우 끔찍한 조서”라고 강조하며 억울한 심정을 드러냈다.
이어 그녀는 “피고소인들이 자신이 언급한 적 없는 ‘감금했다’는 조서내용을 적어 날인을 거부했고 이에 담당조사관은 날인을 강요하며 진술조서를 집어 찢어버리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사실이 진실로 밝혀진다면 목포경찰서가 관련 경찰관들에게 어떻게 처벌할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특별한 대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부주동에 거주하는 시민 이 모씨는 논란에 대해 “경찰관들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없는 사실로 이 모씨가 국민청원에 글을 게시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정확한 조사를 통해 경찰관들의 부정부패를 바로잡고 정의를 바로 세우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여론이 싸늘해진 목포경찰서의 빠른 조치가 필요해보인다.
2020년 10월 28일 제1069호 15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