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북 피격 공무원 목포 서해어업관리단 소속”
목포 지인들 “월북 가능성 없다” 여러 의견 나와 월북인가 실족인가 놓고 여야 국정감사 공방 예상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됐다가 북한에서 피격돼 사망한 목포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공무원의 시신 등을 찾기 위한 수색을 15일째 이어가고 있는 군과 해양 경찰이 수색 범위를 남쪽으로 일부 확대했다.
월북인지 실족인지를 놓고 야당의 지속적인 의혹제기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7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도 이씨의 ‘월북 논란’을 놓고 공방이 예상되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지난달 21일 실종된 해수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원 이모(47)씨의 시신과 소지품 등을 찾기 위해 5일 연평도 인근 해상을 수색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관계기사 5~7면>
해경은 해상 표류 예측 결과 등을 토대로 이씨의 시신 등이 남쪽으로 떠내려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색 범위를 남쪽으로 14.8km가량 확대했다.
수색 범위는 연평도 서방부터 소청도 남방까지 가로 96㎞, 세로 33km(기존 18.5km) 해상이다. 이날 수색에는 해경과 해군의 함선 27척, 관공선 5척 등 총 32척과 항공기 6대가 투입됐다.
해경은 함선 11척과 항공기 2대를, 해군은 함정 16척과 항공기 4대를 각각 투입했다. 옹진군 등의 관공선 5척도 수색에 동원됐다.
이는 전날 기준 수색 동원 세력인 함선 34척, 항공기 7대에 비해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해경은 이씨의 시신이나 소지품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 올 가능성에 대비해 수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앞서 해경은 국방부에서 확인한 첩보 자료와 해상 표류 예측 결과 등을 토대로 이씨가 월북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해경은 이씨의 사망 전 행적 등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금융 거래내용과 통신 기록 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유족들 국방부에 정보공개 신청
한편 이씨의 유족들이 국방부에 사건 당시 감청 기록 등의 정보를 공개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씨의 형 이래진 씨는 “대한민국에서 동생의 비극적 죽음을 해결 못 한다면 IMO(국제해사기구) 등 국제 조사위원회를 통한 조사도 생각할 만큼 상황이 심각하다”며 “피격지점이 대한민국이 아닌 북한이기에 반드시 국제조사기구를 통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씨의 친형인 이래진씨는 5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서 오는 6일 오후 3시 국방부 앞에서 ‘서해 연평도 공무원 피격사건 유가족의 국방부에 감청기록 등 정보공개신청 및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이씨는 “동생의 피격사망과 관련해 국방부에 유가족의 정보공개 신청을 한다”며 “청구 대상은 9월 22일 오후 3시 30분부터 같은 날 오후 10시 51분까지 국방부에서 소지하고 있는 감청녹음파일(오디오 자료), 9월 22일 오후 10시 11분부터 같은 날 10시 51분까지 피격 공무원의 시신을 훼손시키는 장면을 녹화한 녹화파일(비디오 자료)”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날 숨진 이씨 아들의 친필 호소문도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국방부는 감청 등의 방법으로 획득한 첩보자료를 바탕으로 숨진 공무원이 북측에 월북 의사를 밝혔지만 사살 당했다고 발표했다.
해양경찰청도 이번 사건에 대한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씨가 자진 월북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경은 수사 과정에서 군이 보유하고 있는 첩보자료 일부를 확보해 조사했다.
하지만 유족들은 정부의 월북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반발해왔으며, 형 이씨는 지난 29일 외신기자들과의 기자회견을 통해 동생의 평소 행적을 봤을 때 월북을 했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정부의 수사결과 발표도 너무 성급했다고 지적했다. /강하현기자
2020년 10월 7일 제1066호 1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