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포투데이 |
|
의장·부의장 불신임안 상정 사태 빚은 목포시의회
시민들 “시의회 해체하라, 전원 사태가 답” 비판 잇따라
목포시의회 의장과 부의장 불신임안이 같이 상정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목포시의회 임시회는 두 사람 모두 결의안이 부결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목포시의회가 후반기 의장단 구성을 둘러싸고 그동안 민주계와 비민주계로 갈라져 반목 상태가 이어지는 등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목포시의회 의장 불신임안 제출에 이어 임시회의장에서 부의장 불신임안 발의까지 이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지난 16일 오전 11시부터 시작된 2차 본회의는 당초 의장 불신임안 결의안만 상정돼 있었으나 민주당 소속 정영수 의원 외 9명이 기습적으로 발의한 ‘목포시의회 부의장 불신임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 재정의원 21명 중 12명의 찬성으로 가결시켰다. 시의회 사상 처음으로 의장과 부의장 불신임 결의안이 동시에 상정된 것이다.
목포시의회는 후반기 의장단 선거를 둘러싸고 그동안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13명과 비민주연합 의원 8명으로 나뉘어 사사건건 대립을 해 왔다.
이날 임시회는 의원발의 14건과 목포시장 제출 14건 중 27건을 처리하고 정회됐다. 4번의 정회를 반복한 끝에 김휴환 의원을 임시 의장으로 선출해 불신임안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의장 불신임안은 반대 17표, 찬성 1표, 기권 2표로 부결됐고, 부의장 불신임안도 반대 13표, 찬성 5표, 기권 2표로 과반수를 넘지 못해 부결됐다.
이날 벌어진 사태는 의장 불신임안을 제출한 비민주계 의원들에 대한 압박으로 비춰지면서 이를 바라본 시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아예 목포시의회를 해산시켜라” “전원 사퇴가 답이다” “시의회가 자신들 감정 따라 서로 협박하고 비방하며 불신임안 내는 소꿉놀이터냐” “막장 드라마도 이런 막장이 없다” “성추행, 황제독감, 불법주정차 논란도 부족해 이제는 코미디도 다한다”는 비판까지 SNS를 통해 터져 나왔다.
소식을 접한 시민 김수영(47) 씨는 “정말 어떻게 시민을 위해 일하라고 뽑아놓은 시의원들이 자기들 자리싸움에 여념이 없고 상식적으로 불신임안을 낸 의원들마저도 막상 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지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보니 정말 그 의원들을 뽑았던 내 손을 자르고 싶을 정도다”며 “시민단체는 성명서 한 장 달랑 발표하고 본인들의 할 일을 다했다고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시의회에 책임지고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요구하고, 그래도 안 되면 주민소환제라도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직장인 박동일(57) 씨는 “누구를 탓하겠나? 저런 사람들을 시민을 대표하는 시의원으로 뽑아놓은 우리 탓이다”며 “제11대 목포시의회 의원들의 행태를 보고 시민들이 뼈저리게 느껴 무조건 민주당이 아닌 정말 목포시와 시민을 보고 일할 수 있는 그런 일꾼을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일부 비민주계 다선의원들의 민주당 입당을 위한 움직임도 있는 것 같아 이번 사태가 발생한 거 아니냐는 의견들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며 “하지만 이들이 사실상 민주당 복당을 한다고 하더라도 공천 등에서 페널티 커져 선거 출마시 신인들과 경쟁하게 되면 공천권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한편 제11대 목포시의회는 시작과 동시에 황제 독감 백신접종 사건, 성희롱 사건, 의장선거 내정설, 어린이집 앞 불법주차 등 크고 작은 사건·사고들로 끊임없는 잡음을 만들어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강하현기자
2020년 9월 23일 제1065호 4면
|